본문 바로가기

프로그래밍125

Git Rebase 란? 깃 리베이스 왜 써야되?Git을 쓰다 보면 merge는 익숙한데 rebase는 왠지 어렵고 무서운 명령어처럼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rebase는 Git 히스토리를 깔끔하게 정리해주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rebase의 기본 개념부터 실전 사용법, 주의사항까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릴게요.Rebase란?간단히 말하면, 리베이스는 브랜치의 시작점을 다른 커밋으로 바꿔서, 해당 커밋 이후에 내가 만든 커밋들을 새롭게 다시 쌓는 작업입니다.즉, 브랜치를 “다시 베이스(base)” 위에 얹는다는 뜻이에요.예시로 살펴보기1️⃣ 리베이스 전main: A---B---C |feature: D---E main은 A → B → Cfeatur.. 2025. 4. 9.
Github 이슈(Issue) 만들어 관리하기 깃 허브에서 이슈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리포지토리와 관련된 이슈 트래커를 살펴보고 이슈를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슈를 커밋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레이블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Github Issue 란 이슈는 깃허브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업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issue라는 단어가 부정적인 것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GIthub에서 이슈는 실제로 발생하는 모든 작업을 나태내는 이름에 불과합니다. 예를 들어 이슈에는 버그, 작업, 아이디어, 개선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모든 피드백 항목은 기본적으로 이슈라는 하나의 대형 트래커에 수집되며 각 리포지토리에는 이슈 트래커가 존재합니다. 프로젝트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새로운 기능은 이슈의 생성을 통해 추적할 수 있습니다. .. 2022. 9. 21.
github 리포지토리 포크(fork)하기 포크(Fork)란? 포크는 리포지토리(저장소)의 복사본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기존 리포지토리의 복사본에 불과합니다. 포크를 사용하면 원본 리포지토리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복사본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포크를 생성할 떄 복사본은 기본적으로 원래 리포지토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원본 리포지토리에 업데이트가 있는 경우 변경사항도 포크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합니다. 포크를 생성했다면 포크에서 pull request를 생성해서 변경사항을 선택적으로 원본 리포지토리에 병합할 수 있습니다. 포크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포크를 생성하면 해당 포크는 이제 자신의 저장소가 되며 완전히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 포크는 아이디어를 테스트하기 위해 만들곤 합니다. 깃 허브 포크 이해하기.. 2022. 9. 20.
github, pull request 만들고 merge하기 개발자가 각자의 개인 브랜치인 기능 브랜치(feature branch)에서 개발과 테스트가 마치면 메인 브랜치에 머지를 해야 하는 순간이 옵니다. 이때 pull request를 생성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현장에서는 풀 리퀘스트(pull request, 줄여서 pr)를 만들어 코드 리뷰를 한 후 코드에 문제가 없다면 메인 브랜치로 머지를 하는 프로세스를 갖게 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github에서 pr를 만들고 merge를 하는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pull request 만들기 1. new pull request 버튼으로 풀 리퀘스트 생성화면 열기 아래 화면은 git hub 리포지토리 화면 입니다. 현재 두개의 브랜치가 존재합니다. 오렌지 상자 영역의 텍스트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아래 화면이 표시됩니다.. 2022. 9. 16.